2015년 11월 10일. 오전 11시. 보도자료
핵 없는 세상, 아이들의 미래를 위한
영덕군민의 현명한 선택을 지지합니다.
저희는 반핵단체가 아닙니다. 원전지역 시·군 의회 의원들입니다. 오늘 저희는 '영덕 핵발전소 찬반 주민투표 추진위원회'의 주민투표 실시 촉구 릴레이 단식농성에 동참합니다. 영덕군의회 이강석 의장님과 의원님들의 헌신적이고 용기 있는 주민투표 지지 행동에 동참하고자 합니다. 우리 주민들이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기를 희망하기 때문입니다. 우리 아이들에게 핵 없는 안전한 세상을 유산으로 남겨주길 희망하기 때문입니다.
정부는 2011년 12월 영덕과 삼척을 후보부지로 선정하였습니다. 하지만 지난 5월 영덕군의회 원전특위에서 영덕군민 1천300여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59%가 원전건설을 반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지난 7월 23일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2029년까지 300만kw규모의 신규원전 2기를 건설하겠다고 발표하였습니다.
2015년 우리나라 전력 소비량은 현재 약 8,200만kw입니다. 정부는 연평균 2.2% 증가할 때 2029년 전력소비량이 11,193만kw가 될 것으로 추정하였습니다. 신규 2기 원전의 출력량 300만kw는 총 전력량의 약 2.7%에 불과합니다. 이는 핵발전소의 추가 건설 없이 정부의 지혜로운 에너지 정책만으로도 대안을 모색할 수 있는 소비량이라 생각합니다.
핵발전소 건설이 영덕 경제를 활성화한다고 합니다. 그러나 핵발전소 주변 지역을 보십시오. 핵발전소의 도입으로 경제가 활성화되었습니까? 부동산 거래가 끊기고, 사람들의 발걸음이 사라졌습니다. 질병을 호소하는 주민들은 늘어가고, 주민들의 갈등이 빈번해 졌습니다.
경주, 고리, 영광, 울진과 같이 핵발전소를 수용하고 뒤늦게 후회하는 선택이 되풀이 되지 않기를 바랍니다. 안전과 생명을 담보로 막대한 지원금을 약속받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그 약속이 언제 완결될지는 아직도 기약이 없습니다. 이희진 영덕군수께서는 세상에서 가장 위험한 핵발전소를 유치해서 지역을 발전시키겠다고 하셨다지요. 기약도 없는 이행 계획을 믿고 더구나 그 어디에서도 환영받지 못하는 핵발전소를 수용하는 것은 무능하고 무책임한 결정이 아닐 런지요. 영덕군수와 영덕군민께서 핵발전소를 막아낸 삼척과 같이 올바른 선택하시기를 당부드립니다.
정부와 국회는 민심을 따라야 합니다. 영덕군민의 민의를 정부와 국회에서 저버리는 불상사가 일어나지 않기를 기대합니다. 영덕핵발전소 유치 찬반 주민투표가 공정하게 진행되길 기대합니다. 영덕군민들께서 삼척과 같이 영덕군민의 민심을 주민투표로 확실하게 보여주시길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2015. 11. 10.
경주시의회 의원 김동해
경주시의회 의원 정현주
기장군의회 의원 이현만
울주군의회 의원 김민식
울진군의회 의원 장시원
-경주시의회 정현주 의원님 자료 발췌-
'정치를 바꾼다 > 성명서&언론보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여네) 2016 전국여성지방의원네트워크 일본 정책연수_기사링크 (0) | 2016.06.08 |
---|---|
(전여네) 2016 전국여성지방의원네트워크 일본 정책 연수 _ 기사링크 (1) | 2016.06.08 |
(전여네) 스웨덴 복지정책연수 인터넷 기사 링크 (0) | 2015.09.22 |
(전여네) 2015 상반기 정기워크숍 - 화순중앙신문 (0) | 2015.03.18 |
기고문 -'전여네' 새로운 해외 연수 모델 제시/월간지방자치 02월호 (0) | 2015.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