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방의회92

남녀동수 정치 참여를 위한 공동 선언문(안) 남녀동수 정치 참여를 위한 공동 선언문(안) 내년 6월 13일 전국동시 지방선거를 앞두고 서울여성의정 열린 토론회에 참석한 우리 여성들은 인구의 절반, 유권자의 절반이 여성임에도 국민 생활의 각 영역에서 여성의 동등한 권리가 실현되지 못하고 있음을 환기하면서 특히 풀뿌리 민주주의와 생활정치의 기치를 내걸고 각자의 삶과 위치에서 여성운동을 실천해 왔음에도 유독 지방정치에서는 여성의 참여가 현저히 저조한 현실에 경악을 금치 못하는 바이다. 광역자치단체장에는 여성이 전무하고, 기초자치단체장은 전국적으로 여성이 9명, 4%에 불과하며, 광역의회와 기초의회는 여성공천할당제라는 적극적 조치에 힘입어 그나마 여성의 참여가 20%를 넘나들고 있을 뿐이다. 우리는 특단의 조치가 있지 않고서는 지방정치에 여성이 진출할 자.. 2017. 10. 25.
전국여성지방의원네트워크, 서울여성의정 열린토론회 자료집 서울여성의정 열린 토론회_자료집.pdf 2017. 10. 25.
전국여성지방의원네트워크, 서울여성의정 열린토론회 참가 - 전국여성지방의원네트워크, 서울여성의정 열린토론회 참가 - 남녀동수 정치 참여를 위한 공동 행동 선언문 채택 내년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여성의 정치참여 확대를 논의하는 장이 마련됐다. 서울여성의정회(회장 서정숙)와 젠더국정연구원(대표 황인자)이 공동주최한 ‘여성의 지방정치 참여 현황과 과제’를 주제로 열린토론회를 25일 오후 2시 서울시청 서소문청사에서 개최했다. 전국여성지방의원네트워크에서는 목소영 성북구의원이 토론자로 나서 “법적으로는 비례대표 확대, 지역구 공천여성 할당 강제규정으로 남녀동수의회를 향해 가야하고, 정당 내부적으로는 법을 악용하는 공천 사례를 막아내는 것이 중요하다. 여성의원 개인은 남성중심적 정당에서 약할 수밖에 없다. 조직된 힘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 2017. 10. 25.
2017 대한민국정책컨벤션&페스티벌 사진 2017. 9. 17.
전국여성지방의원네트워크 2017 대한민국정책컨벤션&페스티벌 자료 배너.pdf 보드1-전여네-GMO완전표시제.pdf 보드2-전여네-전기요금개편.pdf 보드3-경주시의회.pdf 보드4-화순군의회.pdf 보드5-곡성군의회.pdf 보드6-권순선의원.pdf 2017. 9. 17.
전국여성지방의원네트워크 2017 대한민국정책컨벤션&페스티벌 참가 전국여성지방의원네트워크 「2017 대한민국정책컨벤션&페스티벌」참가 2017 대한민국정책컨벤션&페스티벌」은 “좋은 정책이 좋은 세상을 만듭니다” 라는 슬로건 아래 2012년 제1회 대회를 시작으로 5회째를 맞이하고 있다. 2017년 9월 16일~17일,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된 올해 행사는.. 2017. 9. 17.
전국여성지방의원네트워크 2017년 하반기 정기워크숍 전국여성지방의원네트워크 2017년 하반기 정기워크숍 영광에서 성황리에 마쳐 - 전국 여성지방의원 의정활동 역량 강화 - ‘지방의회의원이 주목해야 할 민간위탁 공공서비스’ 전국여성지방의원네트워크(공동대표 최홍림 목포시의원, 김명숙 원주시의원,이하 전여네)는 2017년 하반기 .. 2017. 9. 2.
전국여성지방의원네트워크 2017 하반기 정기워크숍 전국여성지방의원네트워크 2017 하반기 정기워크숍 - 9월 1~2일(금,토) ,영광 ,신청 마감 8.18(금) 까지 ▄ 아 래 ▄ •행사명 : ‘전국여성지방의원네트워크 2017 하반기 정기워크숍’ •일시 및 장소 : 2017. 9. 1~2 (금,토), 영광군 힐링컨벤션타운 •신청 : 8월 18일 (금)까지 온라인.. 2017. 8. 1.
(전여네) 전국여성지방의원네트워크 2017 지역대표단 토론회 전국여성지방의원네트워크 2017 지역대표단 토론회 전국여성지방의원네트워크 2017 지역대표단 토론회가 3.7(화) 대전중구청에서 개최되었습니다. 전국 16개 시도에서 20여명의 지역대표가 참여한 이번 회의에서 GMO 완전 표시제에 대한 전여네 공동촉구문을 확정하고 지역별로 이에 대한 성명문을 발표 하기로 하였습니다. 또한 2018 지방선거 대비 공통 공약, 우수 의정사례, 지역별 중요 이슈 연대방안 등에 대해 집중 논의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효문화관과 뿌리 공원을 방문하여 효의 가치와 의미에 대한 재확립은 물론 지역에서의 전통문화 계승과 효 문화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확인 할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2017. 3. 8.
(전여네) 전국여성지방의원네트워크 GMO완전표시제 도입 촉구문 GMO 완전표시제에 대한 촉구문 전국여성지방의원네트워크가 엄마의 마음으로 요청합니다 얼마 전 시행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유전자변형농산물(GMO) 표시제 확대 조치는 식용유와 당류를 GMO 표시 대상에서 제외한 무늬만 GMO 표시제에 불과합니다. 열처리, 발효, 추출, 여과 등 정제과정을 거쳐 유전자변형 DNA 성분이 남아 있지 않은 경우 GMO로 표시하지 않는다는 조치는 국민의 알 권리와 정면 배치됩니다. 우리 국민들 중 수입 GMO 콩과 옥수수를 직접 사서 날로 먹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수입되는 GMO 원재료들 대부분이 간장, 식용유 등 가공식품으로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가공식품 원료에 대해선 묻지도 따지지도 않겠다는 것은 GMO표시를 하지 않겠다는 것과 다를 바 없습니다. 유럽연합(E.. 2017. 2. 24.